일반적인 스타트업은 스톡옵션을 부여하기 위해서 반드시 2가지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바로 (1)정관에 가이드라인 명시와 (2)주주총회 특별결의 진행이죠. 오늘은 스톡옵션 부여를 안건으로 한 주주총회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필요한 양식을 제공해 드리려고 해요.
<순서>
1. 스톡옵션을 부여하려면 꼭 주주총회를 해야하나요?
2. 스톡옵션 부여를 위한 주주총회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3. 주주총회에 필요한 서류와 준비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요?
스톡옵션을 부여하려면 꼭 주주총회를 해야 하나요?
'임직원 이외의 사람에게 총 발행 주식의 20% 이내로 발행'하는 경우인가요? 그게 아니라면 반드시 주주총회의 ‘특별결의’를 거쳐야 합니다.이때 스톡옵션 부여를 포함하여 주주총회 특별결의 사항이 통과되기 위해서는 출석한 주주 의결권의 2/3 이상 & 발행 주식총수의 1/3 이상의 찬성이 필요합니다.
▶︎ 주주총회 일반결의와 특별결의 더 알아보기
2. 스톡옵션 부여를 위한 주주총회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스톡옵션 부여를 위한 주주총회도 다음과 같이 일반적인 주주총회의 절차를 따르면 됩니다.
1) 개관 → 2) 주주명부 폐쇄 및 기준일 공고 → 3) 이사회의 주주총회 소집 결정 → 4) 주주총회 소집 통지 → 5) 주주총회의 개최
* 회사의 규모와 상황에 따라 절차를 모두 따르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있으니 현재 상황을 기준으로 판단하여 진행하시기를 권장합니다.
3. 주주총회에 필요한 서류와 준비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요?
비상장회사에서 정기주총을 진행할 때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양식은 총 8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사회 소집통지서
이사 결정서 양식
이사회 의사록 양식
주주총회 소집통지서 양식
기간 단축 동의서
주주총회 참석장: 위임장 양식
서면에 의한 의결서 양식
주주총회 의사록 양식
함께 보면 좋을 콘텐츠
각 양식별로 상세한 설명을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