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쿼타북입니다.
지난 포스팅을 통해 일반 기업에서 주주총회를 준비할 때 꼭 챙기셔야 하는 필수 체크리스트를 함께 살폅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서는 자본금 10억원 미만의 소규모 기업에서 추가적으로 확인하셔야 할 주주총회 필수 체크리스트를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충분한 정보를 얻지 못했던 분들은 이번 포스팅을 통해 주주총회 준비 더욱 완벽하게 하시길 바라겠습니다.
1. 자본금 10억원 미만의 소규모 기업 주주총회 체크리스트
주주총회 10일 전 통지 여부 확인
서면결의 진행 사전 준비
감사보고서 준비
이사회 성립 여부 확인
2. 주주총회 체크리스트 상세 설명
1) 10일 전 통지
소규모 회사의 경우, 주주총회 10일 전에 필수적으로 주주에게 통지를 해야 합니다. 기한 내에 통지하시는 걸 잊지 않아야 합니다.
2) 서면결의 진행 사전 준비
서면결의 진행 시, 등기가 필요한 안건의 여부에 따라 준비 방식이 달라집니다.
A. 등기가 없는 경우
등기가 없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서류가 필요합니다.
i. 주주전원의 서면결의 동의서
서면 결의는 주주 전원이 동의하지 않으면 진행이 불가합니다.
ii. 서면의결서
주주총회 안건에 대한 찬성/반대 의사를 알리는 서류입니다.
만일 주주 전원이 서면결의에 동의하며, 모든 안건에 대해 동의하는 경우, 안건에 대한 주주 전원이 동의한 서면결의서만 확보하셔도 됩니다. 주주 전원이 주주총회 안건에 100% 찬성할 경우, 서면 결의 자체에 대해 동의도 함께 되었다라고 해석하기 때문입니다.
B. 등기가 있는 경우
등기가 있는 경우, 서면 결의 시 주주 전원의 인감증명서가 필요하기 때문에 주주총회를 개최하고 서면의결서를 수합하시는 것이 조금 더 편리합니다.
3) 감사보고서 준비
감사보고서 또한 감사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로 구분지어 설명드릴 수 있습니다.
A. 감사가 있는 경우
이 경우 주주총회 6주 전까지 재무제표를 전달하고, 주주총회 1주 전까지 본점에 감사보고서를 비치해야 합니다.
B. 감사가 없는 경우
감사가 없는 경우 감사보고서 준비는 생략하셔도 됩니다. 재무제표만 주주총회 1주 전까지 본점에 비치해주세요.
4) 이사회 성립 여부 확인
A. 이사가 3인 이상인 경우
이사회가 필수입니다. 정관 상 이사회 소집 기간을 확인하신 후, (만일 정관에 명시되어 있지 않다면 보통 1주일을 기준으로 합니다.) 해당 기간에 맞추어 이사회 소집통지를 보내고, 이사회를 개최하여 주주총회를 소집해야 합니다.
B. 이사가 3인 미만인 경우
이사회가 성립되지 않기 때문에 대표이사가 이사결정서를 작성하여 주주총회 소집을 결정합니다.
주주총회, 쿼타북에서 편리하게 해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