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에 합류하게 되면 자주 듣게 되는 용어 중 하나가 '스톡옵션'입니다.
스톡옵션 관계자라면 꼭 알아두어야 하는 개념이기에 실제로 쿼타북의 고객들께서도 관련된 질문들을 많이 하시는데요, 이와 같은 분들을 위해 쿼타북에서는 '스톡옵션에 관련된 모든 정보들'을 여러 번에 나누어 공유를 드리고자 합니다.
첫 번째 주제는, 옵션의 기본적인 개념과 종류입니다.
스톡옵션(Stock Option)은 주식(Stock)에 대한 선택 권한(Option)을 의미합니다.

재미있게도 한국에서 '스톡옵션'이라고 하면 모두 '주식매수선택권'을 의미하는데요, 사실 '주식매수선택권'을 영어로 제대로 번역하면 Employee Stock Option(ESO)입니다. 따라서 실제 '스톡옵션'의 종류에는 여러가지가 있고, 한국의 '스톡옵션'은 그 중 한 종류인 거죠. 옵션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시면 '주식매수선택권'에 대해 '자산이자 투자'로서의 개념을 더 명확히 이해하실 수 있을 겁니다. 그럼 이제 옵션의 개념과 역사, 그리고 다양한 종류들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옵션'이란 무엇일까요?
[투자유치 프로세스 1] 벤처캐피탈의 유래와 국내 자금 운용 구조에서 살펴보셨듯이 주식 시장은 미래에 대한 가능성에 투자하는 활동에서 비롯되었습니다. 그리고 '가능성'이란 불확실하고 언제든 변동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지죠. 변동성이 클 때 '일정 가격에 살 수 있는 권리'는 시장에서 큰 가치를 가집니다.
간단한 예시를 통해 설명드릴게요
1600년대 초, 네덜란드에서는 튤립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었습니다. 튤립은 작황에 따라 가격 변동성이 컸는데, 사람들은 이 변동성을 해소하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도매업자들은 재배가 끝나기 전, 재배가 끝나면 튤립의 상태와 상관없이 '00원에 사기로 하는 권리(콜옵션)'를 삽니다.
재배업자들은 반대로 '00원에 팔 수 있는 권리(풋옵션)'를 사들이죠. 이를 통해 도매업자들은 '내가 살 물건이 없으면 어떡하지'라는 걱정에서, 재배업자들은 '농사가 끝나고 안 팔리면 어떡하지'라는 걱정에서 벗어날 수 있었습니다.

예상보다도 급격히 튤립의 인기가 높아집니다.
그러자 새로이 도매업자로 나서는 사람들은 '재배가 끝난 튤립을 사들이자' 보다 아예 '옵션을 사자'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예시) A라는 사람이 튤립을 5,000원에 살 수 있는 권리를 보유하고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현재 튤립의 가격은 7,000원입니다. 해당 권리를 보유하고 있다면 2,000원의 차익을 얻을 수 있는 상황이죠. 여기에서 B는 1,000원의 차익을 기대하며 A에게 해당 권리를 1,000원에 팔라고 제안합니다. C는 '한 달 후에는 9,000원일 것 같은데?'라고 생각하며 '난 2,000원에 살게'라고 제안합니다.
A는 B와 C, 또 더 많은 사람들이 본인을 찾아오자, '튤립이 인기네. 한 달 후에는 12,000원도 가겠어'라고 기대하며 '4,000원을 주면 권리를 팔게'라고 제안합니다.
이 과정에서 튤립의 실제 거래는 일어나지 않았지만 튤립의 옵션으로 수익을 거두는 사람들이 등장합니다.

주식과 관련된 '옵션'의 종류는 다양합니다.
튤립 버블 시기에 일어난 '옵션'의 거래가 주식시장에서는 늘 일어나고 있습니다. 태생적으로 기대감으로 움직이는 주식 특성상 가격의 변동폭이 매우 크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옵션, 즉 '미리 결정된 기간 안에 특정 기초자산을 정해진 가격으로 사고팔 수 있는 권리'가 시장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영어로 Stock Option을 검색하면 콜옵션(Call Option), 풋옵션(Put Option)이 가장 먼저 등장하는데요,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을 포함하여 각각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콜옵션
기초자산을 특정 시점에 정해진 가격으로 살 수 있는 권리
기초 자산의 가격이 상승할 것 같을 때 콜옵션을 매수하며, 기대감이 클수록 콜옵션의 가격이 상승한다.

2) 풋옵션
기초자산을 특정 시점에 정해진 가격으로 팔 수 있는 권리
기초 자산의 가격이 하락할 것 같을 때 풋옵션을 매수하며, 하락에 대한 걱정이 클수록 풋옵션의 가격이 상승한다.


3) 주식매수선택권
기초자산(회사의 주식)을
i) 특정 기간 동안의 근로/기여를 조건으로
ii) 특정 기간 내에
iii) 정해진 가격으로 살 수 있는 권리
사실상 여러 조건이 붙어있는 콜옵션이, 회사의 성장을 위해 근로 및 기여도를 제공했을 때에만 권리를 확보할 수 있다.

주식매수선택권의 옵션 특징
정리하자면, 옵션은 자산 자체가 아니라 '자산에 대한 매수/매도 시 활용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합니다. 해당 권리는 자산의 현재 가치가 아닌 미래 가치와 연동되어 시장 내의 지위가 달라집니다. 결국 옵션 거래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미래에 대한 정확한 예측'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식매수선택권에 있어 미래 예측이 얼마나 중요한가'에 대해서는 후속편에서 더 상세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스톡옵션과 함께 옵션의 개념과 역사, 종류를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본격적으로 한국에서의 스톡옵션을 의미하는 '주식매수선택권'의 기본적인 개념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톡옵션 관리, 쿼타북으로 해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