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회사로부터 스톡옵션을 받으셨나요?
스톡옵션을 통해 실질적인 이익을 얻기 위해서는 언제 얼마나 행사할 수 있는지를 미리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스톡옵션 계약서를 통해 정확히 알아둘 사항에 대해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상법상 행사 조건 확인하기
첫 번째로 ‘상법상 행사 조건’을 다시 한번 강조드립니다.국내 기업의 경우, 2년 이상 재직해야만 스톡옵션을 행사할 수 있다는 점을 꼭 기억해 주세요!
2. 재직 기간에 따른 행사 수량 확인하기
약속된 스톡옵션이 가령 1,000주라고 하더라도 이를 단 한 번에 행사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에요. 재직 후 2년이 된 시점으로부터 수차례에 걸쳐 행사할 수 있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기간에 따라 행사 수량이 각각 얼마인지 정확히 확인해 보세요.
(예시) 재직 후 2년이 된 시점에 전체 수량의 50%를 행사할 수 있으며, 재직 후 3년이 된 시점에 전체 수량의 25%, 재직 후 4년이 된 시점에 나머지 25%를 행사할 수 있다.
3. 행사 기간 확인하기
행사 기간이란 쉽게 말해 행사와 관련한 서류들을 준비해서 행사 절차를 밟을 수 있는 기간입니다. 많은 회사가 행사 절차를 진행할 수 있는 이 시기를 특정하고 있습니다.
(예시) 을은 제 행사 기간내에 본 계약서에서 정한 주식 수 또는 조정된 주식 수의 전부 또는 일부에 관해 스톡옵션을 행사하거나 분할하여 행사할 수 있다. 제6조에 따른 행사 기간 중 매년 6월 20일~6월 30일 및 12월 20일~12월 31일까지의 일자
위 예시와 같이 계약서에 특정 일자가 명시되어 있다면, 해당 기간 내에서만 행사 절차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스톡옵션 계약 당시에 정확하게 확인하셔야 하는 사항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행사 방식
행사가
행사 방법 및 절차
스톡옵션 계약이 더 궁금하시다면 아래 콘텐츠를 참고해 주세요.
계약서 작성 자세히 알아보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톡옵션 계약서를 확인해보고 싶으시다면
쿼타북의 스톡옵션 계약서 양식을 이용해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