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톡옵션을 부여하기 전 알아야 할 사항들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바로 스톡옵션을 얼마나 부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한도 파악과 부여할 수 있는 스톡옵션이 얼마나 남았는지에 대한 수량 파악입니다.
스톡옵션 부여 한도
1. 발행 수 한도
일반 기업의 경우 주식 총 발행 수의 10% 이하, 상장기업의 경우 주식 총 발행 수의 15% 이하, 벤처기업의 경우 50%까지 발행 가능합니다. 다만, 벤처기업이 상장법인 또는 등록법인이 되어있는 경우 이미 부여한 스톡옵션 초과분이 소진될때까지 추가 부여는 금지된다는 것을 기억해주세요!
2. 행사 가격 한도
일반 기업과 상장기업은 시가보다 높은 금액으로만 행사가를 정할 수 있습니다. 벤처기업의 경우 시가보다 낮은 금액으로도 행사가를 설정할 수 있지만 행사 가격이 액면가보다는 높아야 합니다.
3. 최소 클리프 기간 제한
스톡옵션은 부여 이후 2년 이상 재직할 시 행사가 가능합니다. 우리나라 상법이 모든 기업 내에서 스톡옵션 부여 이후 2년 이상 재직한 사람에게만 스톡옵션을 행사할 수 있도록 명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 Tip
기관 투자자들은 지분 희석 방지와 기업 가치 보호를 위해 스톡옵션에 대한 제약 사항을 계약서에 명시하고 있습니다. 상법과 벤특법의 기준과 별도로 스톡옵션과 관련한 투자 계약서의 조항을 꼭 확인해주세요!
스톡옵션 수량 파악
앞선 방법으로 파악한 부여 가능 총 수량에서 실제 부여한 수량을 제외하면 현재 부여 가능한 수량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부여받은 임직원의 수가 많을 수록 변동사항이 많아(휴직, 퇴사, 행사 등) 수량을 파악하기 쉽지 않습니다.
이때, 쿼타북과 함께 하시면 더욱 빠르고 편리하게 스톡옵션 부여 가능 수량을 파악하실 수 있다는 사실!
쿼타북에서는 개별 스톡옵션을 손쉽게 관리할 수 있고, 현재 부여할 수 있는 수량이 얼마나 남았는지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스톡옵션 관리 기능 살펴보기
스톡옵션, 쿼타북으로 통합 관리하세요.